금통위원 2명 금리인하 소수의견…경기 불안 우려도 여전
예상 깬 기준금리 동결에 국고채 금리 급등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0.2.27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0.2.27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7일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25%로 동결하자 증권가에서는 4월 금통위에서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크다는 진단이 나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불확실성 고조에도 금통위가 신중한 입장을 고수했으나, 여전히 금리 인하 기대는 유효하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강승원 NH투자증권[005940] 연구원은 “2명의 금리 인하 소수의견이 유지됐고 1분기 경기지표가 크게 부진할 것으로 보여 4월에는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금리 인하 시점이 4월로 이연된 것이며 연내 동결을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여전히 한은은 경기 불확실성보다는 부동산 관련 금융 불안정성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도 “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 경제 불확실성이 계속 커지는 상황에서 2월 금통위의 통화정책 결정은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잠시 미룬 것에 불과하다”며 “4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가 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제한적인 통화정책 여력과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금융 안정성 등을 고려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도 “금리 인하는 결국 시간문제로 판단하며 4월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한다”며 “한은이 성장률 전망을 낮췄고 금융중개지원대출 한도를 증액한 것을 보면 경기 대응 필요성은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지난주 정부가 발표한 2·20 대출 규제 정책과의 엇박자 우려, 1,200원대의 원/달러 환율 등이 동결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안재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의 추경 편성과 각종 소비진작 대책 등이 예정돼 있지만 이것만으로 민간소비 위축에 대응하기는 어렵다고 본다”며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으로 대외적 충격까지 발생할 여지가 생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까지는 미시적 대응이 유효한 상황이지만 향후 상황은 그리 녹록지 않아 보이며 금리 인하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여겨진다”며 4월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도 4월 금리 인하를 전망하며 “부동산 가격 상승, 가계 부채 증가 등 금융 안정도 중요하게 고려할 상황이나, 한은이 전망하는 2.1% 성장률을 달성 가능할지도 의문”이라며 “잠재성장률이 2.5% 수준으로 추산되는 상황에서 상반기 중 금리 인하는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다만 코로나19 사태 추이 등에 따라 4월에도 금리가 동결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김민형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4월 금통위에서 금리를 인하하려면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며 “4월에도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지 않고 2분기 이후 경기 경로의 하향 조정이 불가피하며, 미국 내 코로나19 확산이 심해져 미국 경기 전망 하향 조정과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진 경우”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두 조건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4월 금리 인하가 가능하지만, 미국이 금리 인하를 고려할 만큼 코로나19 확산이 악화하지 않으면 국내 1분기 마이너스 성장에도 금리는 동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시장 예상과 달리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하자 채권 금리는 일제히 큰 폭으로 올랐다.

이날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5.9bp(1bp=0.01%포인트) 오른 연 1.194%에 장을 마쳤다.

10년물 금리는 연 1.443%로 4.8bp 상승했다. 5년물과 1년물은 각각 5.8bp 상승, 3.5bp 상승해 연 1.290%, 연 1.154%에 마감했다.

20년물은 연 1.479%로 5.5bp 올랐다. 30년물과 50년물은 각각 5.1bp 상승한 연 1.480%를 기록했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하 기대를 선반영한 시장 금리 레벨 부담이 커지면서 시장 금리는 급등했다”며 “다만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만큼 급등세가 이어질 가능성은 작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