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후 주요대출 부상

photo_caption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3년 중 가계신용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가계신용을 전체 가구수로 나눈 가구당 가계부채는 2926만원으로 지난 97년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급속히 늘어났다.
 그러면 가계부채에는 어떤 부채가 포함되며 이처럼 급속히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과도한 가계부채는 개인과 국가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
 통상적으로 가계는 자금의 흑자부문으로, 자금의 적자부문인 기업에게 금융기관 등을 통해 자금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개별 가구에 따라서는 수입과 지출간의 시차(時差) 또는 주택마련을 위한 거액의 차입금 발생 등 여러 가지 이유로 가계부채가 발생할 수 있다.
 공식적으로 발표되는 가계부채에는 예금은행, 상호저축은행, 신용카드회사 등의 금융기관으로부터 빌린 차입금은 물론, 신용 및 할부금융회사 등을 이용해 신용으로 산 물품구입 대금이 포함된다. 사채시장에서 빌려 쓴 사채까지 감안한다면 실질적인 가계부채는 공식적으로 발표되는 수준보다 크다.
 가구당 가계부채는 기업대출의 부실화로 인해 은행경영에 어려움을 겪었던 은행들이, 외환위기 이후 가계를 주요 대출거래 대상으로 자금을 운용하면서 가구당 2000년말 1827만원, 2001년 2303만원, 2002년 2915만원으로 급등세를 지속하다가 지난해에는 당국의 가계대출 억제조치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 위축 등으로 상승세가 크게 둔화됐다.
 하지만 가계부채가 여전히 상당한 규모에 달하고 있어 금리가 상승하거나 소득이 줄면 가계의 재무상태는 더욱 취약해 질 수 있다. 이같은 가계부채에 대한 문제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스위스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결제은행(BIS)이 발표한 '가계부채와 거시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있어 각국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한다.
 가계부채 급증원인에 대해 국제결제은행(BIS)은 주택구입을 위한 대출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에 부동산가격이 하락할 경우 대출을 갚지 못해 집을 팔려는 가계가 늘어 집값이 더 떨어지는 악순환을 겪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의 시사주간지 '뉴스위크' 최신호는 한국의 경우, 잘못된 내수진작책이 신용카드 버블로 인한 과도한 가계부채를 야기했으며, 한국이 외환위기 이후 두 번째 위기를 맞고 있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