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식 논설위원

 "덕수 이씨 문중으로부터 엄청난 비난을 받았다"고 예술원 회원이신 신봉승 극작가는 말했다. 벌써 오래 전 얘기다. 텔레비전에서 신봉승 작 '조선왕조오백년'이 연작으로 방영될 무렵이었으니까. 그 무렵 필자에게 신봉승 선생께서 한 말은 또 "원주 원씨 문중으로부터 선물을 받았다"는 것이었다. 다소 흥분하며 신 선생께선 "내가 글을 쓸 때 덕수 이씨 이순신을 폄하할 생각은 추호도 없었으며, 또 그러지도 않았다. 그리고 동시에 원주 원씨 원균을 특별히 추켜세울 의향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얼핏 보기에 이순신은 명장이지만 반드시 이길 수 있는 싸움에만 출동하는 인물임을, 그런데 원균은 이기든 지든 적과의 전투를 마다 않는 우직한 인물임을 드러냄으로써 두 사람에 대한 기존의 평가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그려냈던 것이다. 다시 신봉승 극작가는 말한다. "나는 그저 이순신은 기왕의 모양 그대로, 하지만 원균은 좀 새롭게 그리려 했을 뿐이다. 이게 상대적 차이를 좁히는 것으로, 그리하여 이순신 집안에 불편한 심기를 주게 됐다면 어쩔 수 없는 일이나 결코 다른 뜻이 있었던 건 아니다."
 '역사는 기록하는 자의 편이다'라 한 것처럼 기록을 남긴 이순신 쪽으로 몰렸던 그 동안의 평가에 여러 방향에서 다시 살필 필요성을 제기한 신봉승 선생의 말씀을 이 시점에서 다시 떠올리는 이유는 뭔가? 역사의 갈피에서 그대로 있을 따름인 이순신과 원균을 후세인들이 이러쿵저러쿵 따지더라는 말이다. 그러므로 역사적 사실이 거기 그렇게 있음에도 후세 학자들에 의해 또는 소설 등 문예 작품을 통해 새롭게 이해되고 해석된다는 사실, 필자는 특히 이것을 놓치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논리로, 즉 신봉승 때문에 이순신이 억울해 할 수도 있을 것이고, 신봉승에 의해 그 동안 홀대 받아 온 원균의 억울함이 비로소 풀릴 수도 있다는 점에 생각이 이르러 이를 원용하고 보니, 분권 시대에 강원도의 현실이 새롭게 보이더라는 말이다. 즉, 강원도는 가만히 있는데, 분권특별법이 제정되더니 강원도에 대한 인식이 갑자기 뜨거나 가라앉더라는 얘기다. 다시 헌재의 위헌 판결로 신행정수도 이전이 무산되니 갑자기 강원도의 희망이 또는 솟는다 하거나 또는 솟았던 희망이 다시 사라진다 하더란 얘기다. 객관적 사실과 관계없이 외각에서 이렇게 또는 저렇게 말함으로써 강원도는 한 순간에 뜨다가 한 순간에 가라앉는 이순신이기도 하고 원균이기도 하더란 이야기다.
 문제는 이순신과 원균은 이제 이미 역사적 존재일 따름이고, 이들과 관계된 일이 살아 숨쉬는 오늘의 사실과 사건이 아니라는 것이다. 논의는 있되 그것은 어디까지나 인문학적 또는 예술적 상상의 세계 안에서의 일이다. 전국적 헤게모니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분권 문제와는 전혀 다르다는 것이다. 최근 드라마로 다시 일어난 이순신 논의나 지난 시절 신봉승 선생으로 발단된 양 문중 간의 예의 그 공과(功過) 논란은 두고두고 얘기될 고전이지만, 이 땅에 자리 잡고 사는 우리의 삶은 회고주의자의 음풍농월도, 그야말로 재미있는 드라마도 아니다.
 따라서 심각하다. 어찌하여 이토록 의식의 식민 노릇을 계속할 것인가. 즉, 저쪽 어느 메에서 이런 저런 이론이 나오고, 거기에서 이렇고 저런 사태가 발전하면 강원도는 목을 내밀고 뜨악하게 바라보다가 뜨느니 가라앉느니 한다는 사실 말이다. 역사의 강고한 질서를 잡으려 하지 않고 그저 뒤통수를 내리치는 죽비소리나 들으면서 살아가는 신세여야 하는가 말이다. 강원도적 논리, 강원도의 주의 주장이 오늘처럼 없거나 조심스러웠던 적이 그 언제 또 있었단 말인가. 아아, 안타깝고도 한심하도다. 강원도에서 이순신 드라마를 볼 때에는….
misan@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