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닦고있는 영동고속도로 대관령구간 4개 터널 입·출구 등 결빙 취약지에 전기 열선을 깔아 겨울 공포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이 또 제기됐다. 도로공사는 일단 '불가' 판단을 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 구간의 지형, 기후의 특성을 보면 절대 억지 주장이 아니다. 영동고속도로 문제의 '마의 구간'은 횡계∼강릉 사이 대관령구간. 도로공사는 이 구간 21.6㎞를 신설하면서 완공을 올 연말에서 11월로 앞당기기로 했다. 이제 '대관령 구비길'은 옛 말이 된다. 더구나 폭설기 전에 개통시키게되어 여간 다행스럽지 않다.

문제는 그래도 도로관리는 재래식이라는 것이다. 도로공사는 "폭설이 내리면 상·하행 5차선 가운데 1차선씩으로만 통행시키고 나머지 차선으로 중장비를 집중 투입해 제설한다"는 구체적인 폭설과 혹한 대책을 밝혔다. 그러나 크게 늘어날 물류유통량이나, 툭하면 돌발상황이 발생하는 대관령의 기후특성을 감안하면 그런 탁상대책은 미덥지 않다. 오히려 이번 폭설대란의 혹독한 대가를 치르고도 정부가 몰라도 너무 모르는 것 같아 답답하다.

대관령구간은 개수나 확장이 아니다. 최고의 난 루트를 뚫는 신설이다. 그리고 최악의 교통난제 하나를 해결하는 교통정책의 개가다. 그렇다면 도로관리 여건도 이에 맞춰져야 한다. 대관령 눈길을 지나는 사람들 가운데 한 두 사람이 "왜 우리는 결빙방지 시설을 못하느냐"고 질책해온 게 아니다. 그만큼 선진국에선 그런 도로관리 기술이 보편화됐고, 해외여행을 하며 직접 그런 도로를 경험한 사람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터널 출·입구에 각 50m씩 열선 설치를 할 경우 1개소에서 연 1억 원의 비용이 들어간다. 이런 비용지출 때문에 열선 설치를 부정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염화칼슘 등 제설제 구입비와 인건비, 제설제 환경오염 등을 고려한다면 오히려 열선 설치는 더 경제적일 수 있다. 당장 예기치 않은 정부, 지자체 그리고 개인의 지출과 피해를 발생시킨 이번 대관령 고립 같은 사건 하나만 예방하더라도 그 이상의 경제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 도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다. 이 도로 문제가 쟁점이 될 때마다 정부는 영동지방 주민들에게 '시혜'를 주는 입장이고, 지역의 정당한 주장은 마치 '이렇게 저렇게 해달라'는 떼처럼 잘 못 비쳐져 왔으며, 이번 '열선 깔기' 주장도 그런 관행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도로는 지역 소유가 아니라 국민, 특히 수도권 주민의 관광 루트라는 점을 정부가 인식하지 않으면 안 된다. 솔직히 수도권 어느 고개가 만년 폭설대란을 겪고 있으며, 대안이 열선을 까는 것이라면, 그 경비의 많고 적음을 따지지 않고 그런 시설을 했겠나, 안 했겠나 묻고싶다. 대관령 열선 깔기를 다시 한번 적극적으로 검토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