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문화유적기 가꾸기 사업'에 지난해부터 55억8천 여만 원이 쏟아 부어지고 있으며, 이 돈은 강원도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기초 생활편의 시설 정비에 주로 쓰이고 있다. 올해 우선 13억2천만 원이 춘천 강릉 속초 등 3개 지역 18개 지구의 화장실, 관광안내판 등 편의시설 정비에 쓰여지게 된다. 도관계자의 말대로 일단 '주요 관광지의 기반여건이 대폭 확충돼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크게 기여하게 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런 전망 뒤에는 실망도 적지 않다. '외래관광객 580만명 유치, 관광수입 73억 달러 달성'목표를 내건 '한국 방문의 해'라는 국가적 잔치마당에 정작 관광도에서 하는 일이 고작 화장실이나 고치고, 안내판이나 외국어로 바꾸는 정도로 만족하는 것 아니냐는 아쉬움이다.

관광지에 접근 교통망을 구축하고, 좋은 숙박시설을 유치하며, 해외에 이를 홍보하는 영역, 소위 관광의 기초인프라는 정부의 '큰 계획'에서 담당할 몫이다. 따라서 지금 道가 서두르고 있는 관광 편의시설 정비는 정부의 이런 큰 계획의 일환을 수행하는 것에 불과하다. 강원도 관광산업이 사느냐, 죽느냐는 타시도에 비교해 얼마나 관광경쟁력을 창출해 낼 수 있느냐에 달렸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하드웨어는 정부에 맡기고, 소프트웨어를 챙기는 일에 더 노력을 기울였어야 했다. 그러나 지난 연말 이후 道가 쏟아놓고 있는 한국방문의 해에 대한 '대책' 속에는 관광경쟁력 창출 노력의 흔적이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 지난 연말부터 '눈의 나라 페스티벌'이 대관령일대를 중심으로 펼쳐졌으나 이는 한국방문의 해 추진위가 전국을 대상으로 마련한 10대 기획이벤트 가운데 하나이고, 오는 9월 양양에서 열리는 ' 자연송이 축제'도 15대 특별이벤트 가운데 하나다. 결국 '가장 강원도 적이고, 그래서 가장 세계적이며, 이 때문에 가장 경쟁력이 있는 강원도 관광 상품'은 한국 방문의 해를 맞고도 탄생되지 못하는 것이다.

관광의 소프트웨어 경쟁력은 아이디어를 얼마나 상품화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예를 들면 산촌문화와 토속형 숙박시설을 결합한다던가, DMZ의 관광상품화, 병영문화와 체험관광 욕구의 결합, 동해안에서 체험해 보는 한국의 회 문화, 산사(山寺)와 선의 체험 등은 강원도에서나 가능하며 그만큼 경쟁력이 돋보이는 관광상품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은 대상들이다. 관광의 기초 기반 조성조차 무시하라는 얘기는 아니다. 그러나 수십 억 원씩 투자되는 기반사업에서 단 몇 %만이라도 떼어서 소프트웨어에 투자하는 지혜가 아쉽다. 전국적으로 강원도 관광상품 개발 아이디어를 공모해보는 것도 일종의 소프트웨어 투자일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