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제2산업단지 건설 여부를 놓고 산업자원부가 하고 있는 고민은 어려움에 처한 한국경제의 현실을 반영한 매우 자연스럽고 또 진지한 접근이라는 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충주시에 80만 평 규모의 산업단지를 조성할 것이냐, 아니면 원주시에 30만 평의 공단을 세울 것이냐'의 문제가 산자부 고민의 핵심이라면 결정에 특별한 어려움이 있을 것 같지 않다. 경제난을 벗어나지 못한 우리의 현실을 감안하여 투자되는 예산의 부담을 줄이면서 실효성 있는 규모의 공단을 세운다는 원칙에 '신(新)원주공단'이 매우 적합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생각하면 산자부의 고민 혹은 갈등은 공연한 것일 수 있고 어제 산자부 장관의 "재검토" 발언은 현실을 살피지 않은 단견이란 오해를 부를 수 있따. 예산 등의 문제를 따져 보건대 실무자급에서 이미 '원주공단'이 '충주공단'보다 입지적 가치가 더 높다는 결론이 난 상태라 특별한 문제 거리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자부가 '업체의 입주 가능성이 적다'는 이유 등으로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은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결과다. 지금 원주는 밀려드는 이주 기업체의 공단부지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수도권 과밀 억제 정책'이 거꾸로 간다는 비판 속에서 '수도권 공장총량제'가 현실화하는 분위기임에도 우산 태장 문막농공 문막지방산업단지 등 4 개 공단의 분양은 2 년 전에 이미 끝났고, '제5공단' 건설이 절실한 상황이다. 오죽 급했으면 기업체들이 원주지역 일반 농지를 매입해 공장을 신축하는 일이 벌어지겠는가.

거기다가 원주는 영동고속도 확장이나 중앙고속도 개통 등 한반도 중부를 커버할 수 있는 사회간접자본(SOC) 시설을 완료해 놓은 상태다. 이제 적어도 원주지방에 관한 한 강원도 산업 인프라의 낙후 혹은 열악을 논할 필요가 없게 됐다. 산자부가 북평공단의 미분양 상태를 거론하는 것은 물류비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는 원주지역의 교통망 현실이 영동지방의 그것과 전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간과했기 때문이다. 앞으로 시베리아와 유럽을 잇게 되는 '철의 실크로드'가 개통될 경우 원주의 물류 거점으로서의 가치는 또 한 차원 높아질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산업자원부는 원주지역의 인구 자연 증가율, SOC 확충, 유치 이전 기업체 한 해 50여 개 등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산업 현실을 직시하여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신공단 건설 적지를 굳이 충주시에서 원주시로 방향 선회한 이유를 확인하고 실무 차원에서의 판단을 존중해 더 이상 신공단 부지 결정에 갈등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런 일은 전적으로 경제 산업적 현실에서 접근해야지 정치적 논의 거리가 아님을 염두에 두기 바란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