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 유람선 관광에 대한 부정적 견해는 이 사업이 시작된 이후 끊임없이 제시돼 왔다. 지난 99년 6월 금강산 관광객인 주부 민영미 씨가 '공화국에 반대하는 행위'를 한다는 이유로 북에 억류됐을 때 여론은 북측이 금강산 관광을 활용해 엄청난 달러를 벌어들이면서 현대와의 '수직적 계약'을 악용하는 행위를 서슴지 않았다는 비난이 있었다. 최근 현대측의 자금난으로 금강산 유람선이 좌초될 위기를 맞자 역시 여론은 사업 주체인 현대와 정부, 북한측 모두를 싸잡아 비판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원칙적으로 금강산 유람선 관광은 지속되는 것이 마땅하다는 생각이다. 모든 사업에는 음양과 허실이 있게 마련이지만 금강산 관광의 경우처럼 긍·부정 관점의 첨예한 대립을 보이는 경우도 흔치 않을 것이다. 한반도 분단사상 최초의 본격적 대북(對北) 경제 교류이며, 따라서 이 사업이 시작되면 남북 긴장 완화를 비롯한 남북관계가 긍정적이고도 발전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 분명하다는 견해가 있었던 반면 다른 한편 '종속적 관광계약 구조'가 바뀌지 않으면 많은 문제를 일으키게 될 것이므로 재계약을 하든가 중단하는 것이 옳다는 주장도 제기 됐었다.

시작된 지 3 년차인 오늘날 현대아산(주)의 자금 고갈로 좌초 위기를 맞으면서 또 다시 금강산 관광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제기하는 여론이 비등하게 된 책임은 일차적으로 관광료 약정 금액의 6 분의 1 수준인 200만 달러밖에 북에 보낼 수 없었던 현대측이 져야 할 몫이다. 특히 현대의 요구에 대해 "지급금 감축은 안 된다."는 북의 대답 이후 정부에 이런저런 담보를 제시하며 지원을 요구한 현대로선 부실기업 자금지원이 국민 부담으로 돌아온다는 점에서 국민적 공감을 얻을 수 없음에 유념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의 해법은 현재로선 매우 어려운 형편이다. 그러나 이럴수록 현대는 온갖 지혜를 끌어모아 금강산 관광사업이 좌초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사태를 맞지 말아야 할 것이다.계약이 비현실적이란 점을 부각시키면서 북을 설득하는 일에 사운을 걸 필요가 있다. 북한 역시 막무가내로 버틸 일이 아니다. 사업이 지속돼야 입산료를 받을 수 있다는 등의 합리적 사고로 접근하길 촉구한다. 특히 정부는 양측의 이견을 줄이는 일을 중재해야 마땅하다. 대북햇빛정책과 금강산 관광사업은 상징성 및 경제성 등에서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 이 사업이 중단되면 정부의 대북정책도 지장받을 염려가 없지 않다. 금강산 유람선 관광사업 좌초 위기는 결국 3자 모두가 일의대수(一衣帶水)와도 같다는 생각을 해야 풀릴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