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 의욕 감퇴·빈부 격차
경쟁력 저하 수출 감소 초래

photo_caption
한은 강원본부 기획홍보팀 과장
 여러 가지 상품들의 평균적인 가격수준, 즉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인플레이션(Inflation)이라고 한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은 보통 총수요와 총공급이라는 분석틀로 설명할 수 있다. 총수요란 가계나 기업 등이 구입하려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양을, 총공급은 판매하려는 양을 나타낸다.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이 늘어나거나 물가가 계속 오를 것이라는 사람들의 기대심리 등은 총수요를 증가시켜 물가를 상승시킨다. 반면 최근의 유가상승과 같은 원재료가격의 상승은 제조원가의 상승을 통해 총공급을 감소시켜 물가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먼저 물가가 오르면 연금이나 봉급생활자와 같이 수입금액이 일정한 사람들에게는 실제로 소득이 줄어드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같은 금액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이 전보다 적어지기 때문이다. 또 그 동안 애써 모은 저축의 실제가치도 떨어지게 되어 사람들의 저축 의욕을 감퇴시킨다. 열심히 저축을 해보아야 물가상승률이 이자율을 초과한다면 실질적으로는 손해를 보는 셈이 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인플레이션은 부의 분배를 왜곡시킨다. 인플레이션하에서는 사람들이 부동산이나 귀금속 같은 실물자산을 선호하고 이들 자산의 가격은 더욱 상승하여 고가의 부동산 등을 보유한 사람들의 재산은 더욱 불어나는 반면 집 없는 서민이나 봉급생활자는 상대적으로 더 가난하게 되어 빈부차이가 커진다. 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설비투자를 위축시켜 국민경제의 성장기반을 약화시킨다. 인플레이션이 지속되어 저축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금융기관은 대출재원 확보를 위해 금리를 인상할 수밖에 없고 결국 이러한 금리인상은 기업의 설비투자를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끝으로 국제수지를 악화시킨다. 국내 물가가 인상되면 당연히 수출품 가격이 상승하여 나라간 가격경쟁력 저하로 수출은 감소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수입품 가격이 하락하는 효과를 가져와 수입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인플레이션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때문에 물가를 안정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