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동 열

삼척주재 취재부국장
우리 국민들이 모처럼 하나가 됐다. 일본이 중학교 신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독도 영유권 주장을 명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규탄 성명이 잇따르고 주한 일본 대사관은 항의 인파에 포위됐다.

강원도는 신라 지증왕 13년(서기 512년) 실직(悉直·삼척)과 하슬라(何瑟羅·강릉) 군주(軍主)를 차례로 역임한 장군 이사부(異斯夫)가 우산국 정벌을 단행, 울릉도와 그 부속도서인 독도를 우리 역사에 최초로 편입시킨 이후 고려·조선시대를 거치면서 1500년간 관원들이 주기적으로 순찰에 나서는 등 울릉도·독도를 지키고, 관리하는 역할의 중심에 서 왔기에 독도 도발에 대한 분노가 더욱 크다.

가마솥 무더위를 무색케하는 국민들의 분노 열기를 목도하면서 영토분쟁과 관련해 지난달 조용히 전해졌던 한가지 뉴스를 떠올려봤다. 중국과 일본이 동중국해 룽징(龍井)주변 해역의 유전과 가스전을 공동개발키로 했다는 소식이었다. 일본이 주장하는 EEZ(배타적경제수역)의 경계선에 걸쳐있는 곳이지만 엄밀히 따지면 중국 측의 주권 해역 안쪽이다. 더 나아가 중국측이 주장하는 EEZ 논리에 따른다면 일본은 언감생심 자기들 바다라고 말도 붙이기 어려운 곳이다.

페르시아만에 버금가는 해저 광물자원의 보고로 알려진 이곳에서 실제로 유전과 가스 등 해저 광물자원이 발견된다면 일본은 그동안 집요하게 제기해온 영토 분쟁을 통해 어마어마한 이득을 챙기게 되는 것이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일본이 이처럼 한쪽을 압박하면서 다른쪽으로 더 큰 실익을 챙긴 ‘성동격서(聲東擊西)’ 전례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는데, 오키나와가 일본 영토로 편입되는 과정은 그 전형이라 할만하다.

사실 오키나와는 지금부터 140년전만 해도 일본 영토가 아니었다. 옛이름은 ‘유구(琉球)’. 홍길동이 건너가 해상왕국, 율도국을 건설했다고 전해지는 곳이다. 임진왜란 직후, 일본 규슈 남단 사쓰마(薩摩·현재 가고시마현)번의 침략을 받아 조공을 바치는 처지가 되지만, 중국으로부터도 책봉을 받는 등 중국과 일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양속(兩屬)’ 줄다리기를 하면서 독립적 지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1871년, 대만 해안에 표착한 유구인 69명이 원주민들에게 피살된 사건을 계기로 오키나와는 완전히 일본 영토로 편입된다. 식민지 진출에 혈안이 돼 있던 일본은 이 사건 즉시 대만을 겨냥하는 것처럼 대만에 군대를 상륙시켜 화들짝 놀란 청나라로 부터 유구인 피살사건의 손해배상금까지 챙기고 유구를 일본 땅으로 완전히 편입시켰다. 중국이 손해배상금을 지불한 것은 스스로 유구를 일본 땅이라고 인정한 것이나 마찬가지였기에 유구의 일본 편입은 이후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우리땅’ 독도는 지금 어떠한가. 지금까지는 일본이 시마네현을 비롯 우익세력을 앞세우면서 영유권 주장을 되풀이 해 왔으나 이제는 교과서에 아예 자기들 땅이라고 명기해 공식적으로 가르치겠다고 하니 어안이 벙벙할 뿐이다.

독도는 미래에너지인 하이드레이트 가스를 비롯 해양광물자원의 보고인데다 동해상에서 수산자원도 가장 풍부한 곳이다. 독도를 자기땅 이라고 우기면서 일본은 지난 90년대말 신(新)한일어업협정 체결시 독도 주변바다를 한·일 중간수역으로 만드는 실익도 챙겼다.

독도는 어차피 ‘전쟁’ 등 극단적 방법을 통하지 않고는 자기들 땅으로 만들 수 없는 곳이라는 것은 일본도 너무나 잘 안다. 우리가 진정 경계해야 할 것은 중국이 동중국해 자원 개발에서 결국 양보할 수밖에 없었던 것처럼 국제사회를 향해 자꾸 분쟁을 일으켜 독도 주변 해역의 막대한 자원 실익을 챙기고 동해를 ‘일본해’로 고착화 시키려는 일본의 포석이다. 걸핏하면 반복되는 일본의 시비에 우리가 어정쩡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가 더욱 분명해지는 것이다.

이참에 아예 역사적 근거를 들어 ‘대마도’ 반환을 요구한다면 저들은 어떤 태도를 보일까. 갑자기 그게 궁금해진다. dychoi@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