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섭

영서본부 취재차장
정부가 돼지에 구제역 백신을 예방접종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구제역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 최후의 칼을 빼든 셈이다.

그러나 지난해 11월말 경북 안동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후 돼지 구제역 백신 예방접종이라는 대책이 나오기까지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소잃고 외양간 고치기’식 대응에 허탈감이 들지 않을 수 없다.

원주의 경우 안동 구제역 발생 후 지역내 5개 톨게이트(IC) 가운데 북원주IC만 방역초소가 설치됐다.

도내 최대의 축산물종합처리장인 강원LPC에 드나드는 축산물 관련 차량이 주로 북원주IC를 이용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원주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원주지역 첫번째 구제역은 문막 IC 인근인 문막읍 취병리에서 발생했다.

원주시의 초동대처가 실패하면서 구제역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구제역 확산의 빌미를 제공한 또 하나의 원인은 지난 10월 농림수산식품부가 배부한 ‘구제역 긴급 행동지침’이다.

개괄적인 행동지침만 시달되다보니 날씨 등 변수에 대응하는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낮에도 영하로 떨어지는 추운 날씨 때문에 방역초소에 설치된 분무기가 얼어 작동이 안되는가 하면 분부기 살포후 주변에 형성된 얼음을 치우지 않아 교통사고를 야기하는 등 곳곳에서 문제가 도출했다.

이 때문에 서둘러 제설용 염화칼슘을 뿌리고 보온덮개를 지급해 결빙이 되지 않도록 조치하는 등 사후약방문식 대책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한마디로 원주시가 ‘구제역 긴급 행동지침’을 현지화해 세부적인 메뉴얼을 구축하지 못한 것이 화근이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원주시만의 구제역 대응 메뉴얼을 구축해 축산농가에 더 이상의 피해가 가지않기를 바란다. 김기섭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