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영

영서본부 취재부국장

세번째 도전 만에 강원도민들의 염원이었던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가 확정된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의 함성이 아직도 귓가에 생생하다. 하지만 작금의 도내 상황은 경기장 재배치를 둘러싼 잡음이 더반의 감동을 지역간 갈등으로 변모시키는 것 같아 안타깝다.올림픽 유치를 위해 한마음 한뜻으로 뭉쳤던 도민들은 아이스하키와 스노보드 경기장 재배치를 요구하는 원주 횡성과 수용불가 입장을 고수하는 강릉, 동계올림픽 조직위간의 양보없는 갈등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할지 궁금하다.

원주시는 경제올림픽과 환경올림픽, 균형올림픽을 명분으로 내세우며 평창 동계올림픽 및 국제경기대회지원 특별위원회와 동계올림픽조직위에 남·여 아이스하키 경기장 재배치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횡성 역시 동계올림픽이 유치되면 경기장 재배치를 검토해 보겠다는 현 조직위원장의 약속과 올림픽이 열리는 평창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웰리힐리파크가 스노보드 국제경기 시설을 갖춘 국내 유일한 스키장이란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같은 요구에 대해 강릉과 동계올림픽 조직위는 동계올림픽 유치를 신청할 때 IOC와 한 약속이라며 경기장 재배치 절대 불가 입장을 보이고 있다.

경기장 재배치를 요구하는 원주 횡성과 이를 거부하는 동계올림픽 조직위 및 강릉의 입장 모두가 나름대로 명분과 일리가 충분히 있다.그러나 올림픽을 6년 앞 둔 현 시점에서 우리는 동계올림픽 개최 이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보다 훨씬 먼저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일본 나가노와 캐나다 밴쿠버가 적자 올림픽으로 시민들이 허리띠를 졸라매며 올림픽 개최를 엄청나게 후회했다는 사례를 차치하더라도 2002년 월드컵이 끝난 후 매년 수십억원에 이르는 경기장 시설 유지관리비 부담으로 허덕이는 국내 지방자치단체들의 상황을 감안할 때 경기장 재배치 문제를 좀더 심도있게 검토해야 한다.

특히 경기장 재배치 문제를 떠나서 동계올림픽이 끝난 후 강릉에 있는 아이스하키 경기장을 해체해 1000억여원의 비용을 들여 원주로 이전한다는 계획에 대해서도 상식적으로 납득이 되지않는다.

결국 경기장을 해체해 원주로 이전 할 것이라면 당초부터 경기장을 재배치하는 것이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훨씬 더 효과적이란 생각이다.

얼마 전 한국은행에서 내놓은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는 약 60조에 달해 지역발전에 엄청난 도움이 될 것이란 긍정적 전망과 함께 경기시설 건립비용과 올림픽 종료 후 시설 유지 및 운영비용을 고려할 때 동계올림픽 개최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부담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평창동계올림픽을 실제 경제적 측면에서 흑자 올림픽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인프라 건립단계에서부터 대회가 끝난 후 운영 및 활용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효율적인 투자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2010 캐나다 밴쿠버 올림픽은 준비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재원을 조달하지 못해 IOC로부터 추가지원을 받는 등 재정적으로 실패한 동계올림픽이란 평가를 받고 있는 반면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은 중앙정부와 지자체, 동계올림픽 조직위가 명확한 책임체계와 상호협력, 적자를 예상한 대비책 수립이 성공 올림픽으로 이끈 주요 원동력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평창동계올림픽의 경우 경기시설을 비롯해 인프라 설립에 필요한 재원 중 70∼75%는 국비로 지원되고 나머지는 지방비로 충당해야 하지만 아직까지 선수촌, 미디어 빌리지, 국제방송센터 및 메인프레스센터와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결정을 이끌어내 지 못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을 고려할 때 도민 모두가 힘을 합쳐 보다 많은 국비지원과 국민적 관심을 이끌어 내 평창동계올림픽을 성공한 올림픽으로 후손들에게 유산으로 물려줄 의무가 우리에게는 있다. 경기장 재배치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동계올림픽 조직위와 강릉, 원주, 횡성 모두에게 대승적 차원의 양보와 결정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