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IMF 보다 심각 전 연령층 자살률 1위
소득·실업·고령화 등 사회구조적 요인 취약

 

“강원도는 건강한가?”

자살률만 놓고 보면 결코 그렇지 않다. 도와 일선 시군이 자살률 낮추기와 각종 복지정책을 통한 사회경제 구조 개선에 힘을 쏟고 있지만 강원도 자살률 ‘전국 1위’의 오명은 계속되고 있다.
 

▲ 그래픽/홍석범

전국1위 자살률 심각성

강원도의 자살률은 구제금융(IMF)으로 가족 해체 현상이 심각했던 1997, 1998년보다 최근이 더 심각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4 자살위험도 결정요인 및 지역간 격차 요인분석’보고서에 따르면 IMF 광풍이 불어닥친 지난 1997년 강원도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20.6명을 기록,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1998년에는 자살률이 28.4명으로 급증했다.

하지만 가장 최근 조사된 2013년을 기준으로 보면 도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이 전국 평균(28.5명)을 훌쩍 넘긴 38.5명이다.

IMF 때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자살자수도 IMF시기인 2008, 2009년 당시 각각 317명, 436명인데 반해 2013년에는 587명이나 된다.

2013년 한해동안 강원도에서 하루 1.6명이 스스로 삶을 포기한 셈이다.

2011년에는 인구 10만명당 45.2명으로 최근 17년간(1997∼2013년) 최다수준을 기록했다. 이어 2012년 38.3명(전국 평균 28.1명)에 이어 2013년 38.5명(전국 평균 28.5명)으로 꾸준히 1위를 기록했다.

도내 자살률을 연령별로 분류하면 심각한 정도를 그대로 보여준다.

1997년부터 2012년까지 16년간 강원도 연령별 자살률(인구 10만명 당)을 보면, 20대가 21.6명으로 16개 시도 중 1위로 나타났다. 30대(30.3명)도 충남(30.7명)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이어 40대(38.4명), 50대(44.4명), 60대(58.3명), 70대(91.7명) 등 전 연령대에서 자살률 1위에 올라 있다.



전국 1위 자살률 왜?

강원도는 타 시·도에 비해 유독 자살에 취약한 사회 구조적 요인이 많다.

우리나라의 자살 사망률은 경제성장률, 소득, 실업, 고용, 이혼, 출산, 고령화 등의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들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자살률은 특히 도시지역보다 농어촌 지역에서, 수도권 지역보다는 비수도권 지역에서 높게 나타나며 직업군별로는 무직의 자살률이 높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이런 점에 비춰 강원도가 자살에 매우 취약한 사회·경제적 구조를 갖고 있다고 진단했다.

도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2.8%로 전국 평균(4.1%)보다 1.3%p 낮고 지난 2010년 이후 고령인구 증가세가 가속화,이미 고령사회(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차지 비율 14% 초과)로 진입했다.

특히 자살에 취약한 독거노인은 지난 2011년 5만348명에서 지난해 5만7644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으며 출산율도 전국 최저수준이다.

도의 실업률이 증가한 1998년과 2003년, 2009년에는 자살사망률도 각각 28.4명, 37.8명, 43.6명으로 증가했다.

고용률이 증가한 2000년과 2006년의 자살사망률은 각각 19.2명, 31.6명으로 감소하거나 증가 추세가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998년과 2001년, 2009년에는 이혼율의 증가와 출산율의 감소가 나타났는데 이 시기 자살사망률이 각각 28.4명, 24.2명, 43.6명으로 전년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1997년 이후 자살사망률의 꾸준한 증가는 고령인구 비율의 지속적인 증가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노인인구가 많은 농촌 지역일수록 자살률은 더 높았다.

지난 2013년 도내 평균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38.5명이었으나 고성(76.6명), 화천(60.3명), 양양(58.0명), 정선(56.3명)등 군단위 지역일수록 평균을 훨씬 상회했다.

또한 정신질환자수가 많은 지역은 자살자수 또한 많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3년 도내 정신 및 행동 장애 외래환자수는 인구 10만명당 122.92명을 기록, 전국 평균(119.12명)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호·최경식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