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15∼29세 고용률 36.0%
수도권보다 10%p 가량 낮아
상반기 청년 실업률 12.8%
전국 평균 9.2% 보다 높아
일자리 부족·인재 유출 가속

 

청년 고용시장에 찬바람이 부는 가운데 강원도를 비롯한 비수도권 청년들에게 불어닥친 고용 한파가 더욱 매서운 것으로 나타났다.일자리가 없어 지방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떠나면 비수도권의 인구 유출이 심각해질 수 있는 만큼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국회예산정책처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해 2분기(4∼6월) 15∼29세 청년 고용률은 비수도권에서 39.6%로 수도권(45.3%)보다 5.7%p 낮았다.청년층 고용률은 통상 비수도권이 수도권보다 5%p 안팎으로 낮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서서히 격차가 더 벌어지는 모양새다.

올해 1분기엔 비수도권 청년층 고용률이 38.7%였으나 수도권은 5.2%p 높은43.9%였고 지난해 4분기에도 비수도권은 39.5%, 수도권은 43.9%로 수도권이 4.4%p 높았다.

전체 고용률로 따지면 비수도권과 수도권의 격차는 청년층만큼 크진 않았다.7월만 해도 전체 고용률의 경우 비수도권이 60.7%로,수도권 61.7%보다 1%p 낮은 데 그쳤다.비수도권 청년층 고용률이 낮은 것은 수도권보다 지방에서 청년이 할 수 있는 일자리가 적기 때문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올 2분기 서울의 청년 고용률이 45.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인천 45.1%,경기 44.8%로 16개 시도 가운데 청년 고용률 상위 3곳을 모두 수도권이 차지했다.

반면 강원지역 청년고용률은 36.0%로 전북(34.3%),전남(34.7%),광주(35.0%)에 이어 최하위권에 머물렀다.여기에 최근 일부 지방을 중심으로 청년 실업률까지 오르는 모양새여서 비수도권 청년들이 더욱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 청년 실업률의 경우 대구와 전북이 14.4%, 12.2%로 16개 시도 중 가장 높았다.특히 대구는 청년 실업률이 전년 동기대비 4.0%p,전북은 7.6%p 오르는 등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냈다.지역 내수부진과 주력산업이 위축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지방에서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들은 수도권으로 떠나는 상황에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강원도의 경우 1분기 청년 실업률이 15.5%를 기록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분기 들어 9.4%로 진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1,2분기를 합친 상반기 청년 실업률은 12.8%로 전국 평균 9.2%를 크게 웃돌았다.

도내 청년실업문제는 열악한 산업구조로 인해 일자리가 적대적으로 부족한데다 고학력 청년층이 선호하는 관리직,경영·회계·사무직 일자리가 부족한 것이 청년실업률을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에 따르면 2006∼2015년간 지역별 청년층(15∼34세) 인구 이동 현황을 살펴본 결과 경기는 청년 인구가 51만6000명,인천은 6만6000명 늘어 전국 16개 시도 중 1, 2위를 차지했다.서울도 3000명 늘었다.반면 충남(2만명)과 울산(2000명)을 제외한 나머지 비수도권 지역은 모두 청년층인구가 유출됐다.

이 부연구위원은 “청년층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가 산업단지를 유치해 제조업 일자리를 늘리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지만 제조업 비중이 줄어드는상황에서 예전 방식을 답습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그는 “직접적으로 청년 고용률을 높이려다보면 단기적인 성과를 위해 한시적인 일자리만 늘어날 수 있다”며 “교육,양육,간병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을 육성하고 여성복지,교육 등 사회시스템 전반을 개선하는 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관호 gwanho@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