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오른 지선, 쟁점과 변수] ② 지방의원 선거구 획정
지난 지선 지역의견 수렴 부족 지적
방향 논의 특위위원 선정에도 ‘민감’
도, 9∼10월 도 선거구 획정위 구성

내년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강원도의원과 시·군의원 정수에 이어 선거구 획정 로드맵에 대한 도정치권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도의원의 경우 국회 정치개혁특위가 시·도별 인구 상·하한을 초과하는 선거구를 대상으로 조정하거나 분구,통합작업을 거친다.시·군의원은 도의원 선거구 획정안을 고려해 강원도선거구획정위원회가 정한다.국회 정개특위에서는 광역·기초의원 선거구 획정방향 논의에 들어갈 예정이지만 특위 위원 선정에서부터 줄다리기가 이뤄지는 등 사안의 민감함을 반영하고 있다.

6회 지선에서는 국회 정개특위가 춘천과 원주,동해,영월 등 4개 시·군에서 도의원 선거구를 수정했는데 이 과정에서 지역의견 수렴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특히 선거구 인구편차를 고려해 영월읍 일부를 영월 도의원 1·2선거구에 나누는 방안을 마련하자 지역에서는 특정지역에서 선출직을 집중 배출하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

원주시의원 선거구의 경우 3차례에 걸친 도선거구획정위에서 마련된 안이 획정 마지막 절차인 도의회 조례 심의 과정에서 수정되기도 했다.권석주(영월) 도의원은 “선거구 획정이 발표되기전 지역 누구도 내용을 몰랐었다”면서 “모든 것을 인구만 가지고 얘기하다보니 불합리한 요소가 많이 발견됐던 만큼 전례들을 참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역·기초의원 선거구 획정방향은 시장·군수로 뛸 입지자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시장·군수와 각 지역 도의원,시·군의원 후보들이 선거과정에서 함께 뛰는 러닝메이트식 선거운동을 벌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지난 6회 지선은 현행 선거구 변동을 최소화하고 의원정수 증원은 최대한 억제하는 틀 아래 짜여져 예측이 비교적 쉬웠다.반면 내년 지선은 개헌이라는 거대담론과 맞물려 선거제도 개편 등 선거구 조정방향과 범위를 점치기 어려운 실정이다.특히 강원도의 경우 평창동계올림픽 직후 지방선거를 치르게 되는만큼 대회 이후의 지역발전 방향과 인구증감 전망 등이 선거구 획정논의에 면밀히 반영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도정치권 관계자는 “매우 정밀한 작업을 필요로 하는 사안이기 때문에 도가 정치적 피해를 받지 않도록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강원도는 국회의 논의 속도에 따라 이르면 9∼10월 강원도선거구획정위원회 구성작업에 착수,시·군의원 선거구 조정을 준비할 방침이다. 김여진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