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일은 23번째를 맞이하는 통계의 날이다.

‘통계의 날’은 우리나라 근대 통계의 시작으로 평가되고 있는 전문 7개 조의 ‘호구조사규칙’이 최초로 마련된 1896년 9월 1일을 기념하고, 통계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인식 제고와 국가통계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1995년 제정되었다. 특히, 2009년 통계법에 근거한 정부기념일로 격상된 것은 정부 정책 결정의 기초가 되는 국가통계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통계의 어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많은 문헌에서 통계를 활용했던 기록을 찾을 수 있다. 그 중 영어의 statistics(통계학, 통계) 어원은‘국가’ 또는 ‘정치가’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또한,나라의 형편을 뜻하는 국상(國狀)에서 유래된 국상학이 ‘통계학’ 이라는 학문의 확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이미 오래 전부터 국가 정치에서 통계의 역할과 그 중요성이 강조돼 왔음을 알 수 있다.

즉, 통계의 역사와 어원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국민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국가가 알아야 할 정보들을 수집하여 정책에 반영하는 기본 토대의 역할을 해 왔던 것이다. 우리나라 국가 통계를 책임지고 있는 통계청은 1948년 공보처 통계국으로 개국한 이래 현재는 우리나라 중앙통계기관으로서 국가통계 활동의 전반적인 사항을 담당하고 있다.

1948년 제1회 총인구조사 시행령을 공포한 것을 시작으로 질적,양적으로 발전해 2017년 7월말 기준 60종의 통계청 작성통계를 비롯해 1036종의 승인통계를 관리하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는 통계법으로 국가통계위원회를 설치하고 운영하도록 하여 통계의 작성,보급 및 이용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도록 하고,국가통계 발전을 위한 전반적인 사항을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이렇게 국내외적으로 통계 위상이 높아지고, 그 필요성에 대한 공감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실생활과 마주한 우리의 통계 환경은 정책 수립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배경이 된다.하지만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주민을 위한 정책과 개발에 서둘러야 할 지금 귀찮다는 이유로 혹은 사생활 보호라는 이유로 통계조사를 외면하는 불응 업체와 가구의 발생은 매우 걱정스러운 부분이다. 이는 통계를 기본으로 한 신뢰성 있는 정책 결정의 한계와 실효성 없는 정책을 야기하는 악순환이 될 것임이 분명하다.통계조사의 중요한 요소이자 실질적인 배경은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서 시작됨을 말씀드리고 싶다.이번 23번째로 맞이하는 통계의 날을 계기로 통계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는 한편 적극적인 통계 응답의 중요성이 재조명되기를 기대해본다.

권혁윤·동북지방통계청 원주사무소장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