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25년 특별기획-2017 강원리포트 ④문 정부 강원 인맥
>> 홍남기 국무조정 실장
부처간 주요 현안 조율 수행
>> 최종구 금융위원장
산업 구조 선진화·지원 강화
>> 전제국 방위사업청장
방산비리 예방에 광폭 행보

지난 11일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를 끝으로 문재인 정부 1기 내각 인선이 마무리되고 있다.1기 내각은 새 정부 임기 5년 간 정책 방향을 정하고 정책 기반을 다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문재인 정부 1기 내각에 합류한 도출신의 고위 정무직 인사는 장관급에 홍남기(57·춘천·행정고시29회) 국무조정실장과 최종구(60·강릉·행시25회) 금융위원장, 그리고 차관급에 전제국(65·양양·행시22회) 방위사업청장 등 3명이다.내각과 문재인 대통령을 연결하는 청와대에 진출한 도출신 인사들도 주목된다.청와대도 최근 인선이 모두 마무리된 가운데 도출신으로는 신동호(52·화천) 연설비서관,최혁진(48·원주) 사회적경제비서관,탁현민(44·춘천) 의전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이재수(53·춘천) 농어업비서관실 선임행정관 등의 역할이 기대된다.

■ 1기 내각 장관급 2명·차관급 1명 포진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은 부처간 주요 현안을 조율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의 1호 과제인 신고리 5·6호기 건설과 관련 공론화위원회 운영 및 국민 여론을 수렴하는 작업을 총괄하고 있다.또 최근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평창올림픽 홍보대사로 뛰고 있는 가운데 평창올림픽 성공개최를 위해 부처간 올림픽 현안을 직접 점검하는 등 국가 현안을 꼼꼼히 챙기고 있다.

홍 국무조정실장은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정책실장 보좌관으로 일하며 인연을 맺었던 참여정부 인사들이 문재인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과 비서관 등으로 기용되면서 청와대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특히 한양대 선·후배인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과도 각별한 인연을 갖고 있다.홍 실장이 문재인 정부 출범 다음 날인 5월 11일 사실상 1호 인사로 발탁된 배경에는 직업 관료로서 탁월한 업무능력과 함께 문재인 정부내 두터운 인맥도 작용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35년 경력의 정통 재정관료로서 선이 굵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최 위원장은 지난 7월 취임후 문재인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인 금융산업 구조 선진화와 서민 재산형성 및 금융지원 강화에 역점을 두고 일하고 있다.최 위원장은 지난 11일 금융규제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정책 세미나에 참석한데 이어 13일에는 금융권 공동 채용박람회에 참가하는 등 새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의 핵심사업인 금융산업 구조 선진화에 앞장서고 있다.그는 새 정부의 국정목표인 ‘더불어 잘사는 경제 실현’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소득주도 성장을 위한 가계부채 위험 해소와 국민의 재산형성 및 노후대비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금융상품 개발을 독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제국 방위사업청장은 도출신이지만 도민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참여정부 시절 국방부 국제협력관·감사관·정책홍보본부장 등을 지낸뒤 국방정책실장을 끝으로 국방부를 떠났다 문재인 정부에서 재기용됐다.전 청장은 지난 5일 폴란드 키엘체에서 열린 국제방위산업전시회(2017 MSPO)에 참석해 개막연설을 하는 등 취임이후 광폭의 활동을 하고 있으나 핵심은 방산비리 예방에 모아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후 한동안 도출신의 ‘무장관·무차관’이 논란이 됐다.

하지만 장관급에 홍남기 국무조정실장과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발탁되고 차관급에 전제국 방위사업청장이 기용되면서 ‘인사 홀대론’은 사라졌다.그래도 강원도민들의 논리와 이익을 대변할 중앙 무대에 인적 자원이 부족하다는 우려의 목소리는 여전하다.

문재인 정부 1기 내각에 합류한 도출신 정무직 공무원들의 역할이 더 커졌다는 지적은 이같은 강원도민들의 여론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다.


장·차관 분포 들여다보니… 호남·PK 독과점

장관급 부산경남 ·차관급 호남 최다

문재인 정부 장·차관은 호남과 부산경남(PK)의 독과점 체제인 것으로 나타났다.장관과 장관급 및 대통령소속 위원장 30명의 출신지는 전남이 5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부산 4명,서울 4명,경남·북 각 3명 등의 순이다.권역별로는 부산경남(PK) 7명을 포함해 영남이 10명(부산 4명,경남·북 각 3명)으로 가장 많고 호남 8명(전남 5명,전북 2명,광주 1명),수도권 5명(서울 4명,경기 1명),충청권 4명(충남·북 각 2명),강원 2명,제주 1명 등의 순으로 분석됐다.

차관과 차관급 55명의 출신지는 전북이 10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경남 9명,서울 8명,전남 5명,부산·충북 각 4명,광주·경북·경기 각 3명의 순으로 집계됐다.권역별로는 호남이 18명(전북 10명,전남 5명,광주 3명)이 가장 많고 이어 영남이 PK 13명을 포함해 18명(경남 9명,부산 4명,경북 3명,대구 1명,울산 1명),수도권 12명(서울 8명,경기 3명,인천 1명), 충청권 6명(충북 4명,충남 1명,대전 1명)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문재인 정부의 정치적 기반인 호남과 문 대통령의 고향인 부산경남이 장관급 30명 가운데 15명(호남 8명,PK 7명)을 거머쥐며 50%를 차지했다.

차관급도 전체 55명 가운데 31명(호남 18명, PK 13명)을 차지하며 56%를 석권하는 등 문재인 정부의 특정지역 권력 독과점 현상이 뚜렷하다는 평가다.

남궁창성 cometsp@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