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부길   한라대 교수
▲ 석부길
한라대 교수
1988년 서울올림픽을 시작으로 최근 30년 동안 우리나라는 하계올림픽,월드컵 및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등의 대표적인 스포츠이벤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이를 통해 생산유발효과,소득유발효과 및 고용유발효과 등의 직접적인 효과와 함께 국가이미지 제고,수출증대,관광지역경제 활성화 등 간접적인 효과를 얻었다.약 한달 후에는 평창에서 동계올림픽을 개최함으로서 4대 국제 스포츠 대회를 모두 개최하는 쾌거와 함께 경제적 효과가 무려 64조 90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수치가 과대 계산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유형적 효과보다는 무형적 효과를 더 많이 반영한 수치라는 지적이며,대회가 개최될 때마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개최 비용 증가에 따른 재정적 부담에 비해 경제적 혜택은 매우 미비하다는 것이다.

이는 하계올림픽에 비해 상대적으로 참여국이 적은 동계올림픽의 경우 수익성이 보다 낮기에 더욱 상황이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무엇보다도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 짓는 경기장 등의 시설물 사후 활용방안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이에 대한 유지비로 적자폭이 증가하는 것으로 인해 경제적 효과는커녕 빚잔치로 전락될 수도 있다는 우려감이 증폭되고 있다.그나마 평창 동계올림픽은 일찍부터 사후활용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어 12개 경기장 중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정선 알파인스키 경기장의 2곳을 제외한 경기장은 사후 관리 주체가 결정되고 활용방안이 제시되어 긍정적인 상황이라 할 수 있다.하지만 활용방안을 조금만 깊숙이 바라보면 결코 긍정적이라고 치부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활용방안 방향이 대부분 수익추구보다는 주민복지에 맞추어져 있어 실제 수익이 창출될 수 있을지 의문이며 강원도가 관리해야 하는 7개 경기장에서만 한해 120억 적자가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다.또한 그 주체가 강릉시와 강원도개발공사와 같은 재정 여건이 열악한 곳이 운영하기로 되어 있어 그 적자 폭은 더욱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즉,이러한 성공적 올림픽 개최의 걸림돌을 제거할 수 있는 실제적이면서 차별화된 사후 활용 방안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물론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지난해 9월 문화체육관광부,대한체육회,국민체육진흥공단,체육계,강원도 등 기관 관계자들로 TF가 구성되어 사후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미완의 과제로 남아있는 상황이다.과연 절묘한 경기장 사후활용 방안은 무엇일까?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2022년 베이징 올림픽 전지훈련 메카 조성 방안,베이징 올림픽 일부 종목 평창 개최 방안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고 필자도 작년 초 가상현실 기반 스포츠 테마파크 조성 및 가상현실 동계체전을 하나의 방안으로 제안한 바 있다.하지만 이러한 전문가들의 방안 및 TF를 통해 제시될 방안들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예산안 확보가 중요하다.하지만 이 또한 쉬워보이지는 않는다.일부 경기장의 사후 활용에 대한 국비 지원 요청이 예산안에 반영되지 않아 난항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조속히 경기장 사후활용과 관련하여 국비 지원은 현 대통령의 대선공약이기도 한 만큼 정부와 국회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약력 △한라대 뷰티케어디자인학과 교수△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이사△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이사△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개발원 이슈페이퍼 편집위원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