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럴림픽 성공리에 마쳐,유산 차원서 시설 유지 및 관리 당위

어제 패럴림픽이 화려한 폐막식과 함께 끝났다.2018평창동계올림픽은 이로써 그야말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대한민국은 세계 스포츠 대회의 그랜드슬럼을 이룬 위대한 나라가 됐고,한국인의 자긍심은 하늘을 치솟을 정도다.우리는 올림픽 관련 주체들의 오늘에 이른 그 가없는 노고를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국민적 성원이 성공에 이르게 했음에도 적지 아니 의미를 부여한다.

그렇다면 이젠 여직 해결을 보지 못한 문제,곧 올림픽 시설 사후 활용 방안도 논의 논란을 끝내고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그럼에도 이 사안은 미지수 그대로다.강원도는 정부에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강릉 하키센터,슬라이딩센터,스키점프센터 등 4 개 시설 사후 관리 비용으로 국비 75% 지원과 국가훈련시설(NTC) 지정을 요청해 놓고 있다.하지만 문체부와 기획재정부가 온전한 지원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내고,스키점프센터는 지원 대상에서 아예 제외해 버렸다.

대회가 끝나자마자 사회 분위기가 급거 6.13 지방선거로 전환되는 건 자연스럽다.그러자 사후 방안 문제가 당장 지선 중심 이슈가 되고 있지 않나.야당에서 이에 대한 질의에 들어갔다.즉,정부가 책임 있는 대책을 내놓지 않으니 따져보자 한다.더 미루지 말고 정부 당국이 답을 내야 한다.이에 다양한 제안이 쏟아지고 있다.세계컬링연맹(WCF)이 강릉컬링센터에서 국제대회를 열자 하고,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을 프로 빙상 경기장으로 쓰자는 제안도 나왔다.정선알파인센터의 온전한 보존 및 체계적 관리의 당위를 골자로 하는 서명운동도 벌어진다.

유산 창출에 적합한 대안을 찾고 가장 좋은 방안을 선택해야 할 때인데 예컨대 강릉스피드스케이팅과 하키센터에 여전히 운영 주체조차 정하지 못한 상태다.이런 안타까운 상황이므로 시설 유지 및 지원에 대한 지역 정치권의 요구는 지선 등 향후 정치 활동과 연계해 더욱 거세질 게 분명하다.정부의 지원 여부가 결론 나야 시설 유지로 수정한 도 차원의 운영 유지안 등을 마련할 텐데 정부가 반년이 넘도록 답을 주지 않아 진정 어려움이 크다.

다시 유념하게 되지만,2018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종료 이후 우리는 또 다른 과제를 넘겨받은 셈이다.대사가 끝났다고 맥을 놓다간 쌓아 놓은 금자탑이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사후 활용 방안에 대한 정부 당국의 지금과 같은 무소신 무정칙 무책임은 그러므로 비난받을 수밖에 없다.다시 정신을 모아 시설 운영 및 관리 방안을 비롯한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레거시 창출로 나아가야 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