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소멸위험지역 분류
유소년층 급감 고령화율 급증
주거·의료 등 삶의 질 개선 시급

기획취재 삼척에 드리운 인구소멸 그림자 <하> 전망과 대책

■ 앞날도 어두워

삼척이 인구 감소시대 ‘문턱’을 넘은 건 이미 오래다.앞으로 전망 또한 어두워 ‘인구 절벽’ ‘지방 소멸’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삼척은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삼척은 전체인구 6만8673명,20~39세 여성인구 6788명,65세 이상 인구 1만5286명으로 소멸위험지수가 0.444이다.소멸위험지수는 5년 전인 2013년 7월 0.577에서 0.133p 떨어졌다.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인구 수와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를 나눈 값으로 해당 수치가 1.0 이하로 떨어지면 공동체가 인구학적인 쇠퇴 위험단계에 진입했음을,0.5 이하는 극적인 전환의 계기가 마련되지 않는 한 소멸 위험이 크다는 의미다.

강원통계정보 추계인구(2015년 기준)에서 삼척 인구는 2020년 6만6508명,2025년 6만5244명,2030년 6만4814명,2035년 6만4444명으로 감소한다.추계인구는 출생,사망,이동 등 인구변동요인의 추이를 반영해 장래인구 규모와 연령별 구조를 추계한 인구를 말한다.

■ 소지역별 맞춤 대책 필요

전문가들은 인구 소멸을 막기 위한 지역 차원에서의 대책으로 주거,문화,교육,의료 분야 개선을 꼽는다.이들 분야가 쇠퇴하면 유소년층 인와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고 이는 지역 공동체를 와해시키고,경제 성장률 저하 뿐만 아니라 고령인구 부양 부담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거점 의료기관 설립과 의료서비스체계 개선,문화시설 구축,1읍면 1보육시설,1읍면 1초교 등이 최소한의 삶의 질을 보장할 수 있는 환경으로 제시되고 있다.소멸위험지수 분석으로 소위험지역과 고위험지역을 분류,유형별 대응도 필요하다.삼척을 비롯한 도내 대부분 지역의 면단위에서 유소년층 인구는 급감하는 반면 고령화율은 급증하고 있다.

박상헌 강원연구원 연구실장은 “삼척은 도내 시단위는 물론 시·군을 모두 통틀어 인구소멸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한정된 예산으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선 종합적이고 전반적인 인구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특히 “우선 읍·면·동별 분석,읍·면지역은 리까지 나눈 분석을 통해 현 실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며 “이를 토대로 읍·면·동별,마을별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호 kimpro@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