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17곳에 불과 입소 대기만 9년 시설 확충 가장 시급

강원 도내 장애인 주간 보호시설이 부족해 발달·중증장애인들이 갈 곳이 없습니다.춘천의 한 주민은 2011년 중증장애인(자폐1급) 자녀를 장애인 주간 보호시설의 9번째 입소 대기자로 등록했지만,올해도 입소가 어렵자 결국 장애인 자녀를 돌보기 위해 사직했다고 합니다.강원 도내 장애인 주간 보호시설은 춘천·원주 각 4곳,강릉 3곳,속초 2곳,동해·삼척·태백·영월 각 1곳 등 17곳에서 운영되고 있지만,정원(10~20명)은 모두 찼다고 합니다.이들 시설에 입소하면 2~5년 이용할 수 있으며 재입소는 금지됩니다.이 시설에 등록한 입소 대기자는 5∼10명인데 좀처럼 줄지 않고 있어 입소 자리는 1년에 1개에 불과합니다.장애인 주간 보호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입소 대기가 밀리는 것입니다.

강원도 등록 장애인은 10만693명입니다.제주도는 등록 장애인이 3만5840명으로 강원도의 3분의 1수준인데도 장애인 주간 보호시설은 강원도보다 1곳이 많은 18곳이라고 합니다.또 광주광역시는 등록 장애인이 강원도보다 3만 명이 적지만 장애인 주간 보호시설은 두 배나 많은 36곳이 있습니다.강원 도내 장애인 주간 보호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것이 피부로 느껴집니다.이로 인해 장애인 가정은 가족 중 한 사람이 전적으로 장애인을 돌봐야 하고,장애인은 정상적인 생활과 재활이 어렵습니다.

장애인 주간 보호시설도 매년 학교를 졸업한 장애인들이 증가하고 있지만,정원이 한정돼 있어 입소 대기자들이 늘고 있어도 마음대로 증원할 수 없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합니다.또 입소한 장애인들이 시설에서 나가면 갈 곳이 없어 가족들이 입소 기간을 늘려 달라고 호소해 입소자를 더 받을 수 없다고 합니다.장애인은 국가로부터 치료와 교육,그리고 보살핌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장애인을 집에서만 보호할 수는 없습니다.특히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장애인 자녀들이 갈 곳이 없어 부모의 걱정이 많습니다.정부나 자치단체가 시설 확충에 나서야 합니다.장애인을 사회의 일원으로 따뜻하게 보살펴야 합니다.예산부족은 설득력이 없습니다.장애인 보호시설을 확충하고 종사자 교육 등 지원체계의 개선과 관리시스템과 운영기준을 마련해야 합니다.장애인 주간 보호시설을 장애인을 위한 평생 교육센터로 육성해야 합니다.장애인들이 주간 보호시설 등 복지시설 이용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정부의 의무입니다.정부는 기약 없이 주간 보호시설 입소만을 기다려야 하는 장애인 가족들의 눈물겨운 절규를 외면해선 안 됩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