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 정선 시내 버스 완전공영제 급물살
군·4개 버스회사 협상 추진
버스구입 발주 등 준비 돌입
단일요금 체계 적용 방침

도내 첫 농어촌(시내)버스 완전공영제를 추진 중인 정선군과 버스회사와의 협상테이블이 차려지면서 프로젝트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앞으로의 추진방향과 전망을 살펴본다.



■ 추진 방향

정선군은 최근 4개 버스회사와 완전공영제 단계별 추진을 전면 시행방향으로 추진하는 협의를 시작했다.

당초 완전공영제 프로젝트는 2020년 1월 부분 공영제를 시작으로 2021년 1월 지·간선 노선제,2022년 1월 완전 공영제 시행이다.현재 군은 전면 시행이 가시권에 들어가면서 버스 구입 발주와 버스기사를 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으로 채용하는 공고 등의 준비에 들어갔다.미운행 벽오지 노선은 희망택시를 투입해 교통복지를 향상시킨다는 복안이다.군은 68개 노선 모두가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 비수익·벽지 노선으로 시내버스 손실지원금의 경우 한 해 평균 25억원에 이르는 만큼 완전공영제 예산 마련에는 문제가 없다고 분석했다.또한 도내 첫 버스 완전공영제 실현은 지역에 맞는 신 교통모델과 주민복지가 골자인 만큼 시행착오 등 다양한 과제 해결에도 나섰다.한편 정선지역에서는 시내버스 22대(마을버스 포함)가 68개 노선을 운행 중이다.



■ 향후 전망

완전공영제 시행은 운송업체의 노선을 인수해 군이 시내버스를 직접 운영하는 방식이다.65세 이상 주민은 무료인 무상 버스다.주민과 관광객은 이용 횟수에 상관없이 하루 1000원 단일 요금 체계를 적용할 방침이다.시내버스 공영제에 따른 예산 지출은 현재 손실지원금 규모보다 증가할 수 있지만 교통복지 개선,관광 활성화,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파급효과도 기대되는 시책이란 게 군의 설명이다.동계올림픽 당시 운행한 무료버스가 만석이었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그러나 완전공영제 성공의 열쇠는 역시 기존 운수업체와의 분명한 사회적 합의 도출이다.버스회사와 군이 협상에 나서고 주민들도 조속한 시행을 희망하는 만큼 통 큰 결단과 합의가 기대되고 있다.

최승준 군수는 “청소년과 시니어가 주로 이용하는 완전공영제가 손실지원금보다 많은 예산이 필요하고 시행착오를 겪어도 교통복지를 위해서는 감당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윤수용 ysy@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