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제지도 로드맵 연계, 강원도의 최적 당위 입증을

정부가 비무장지대(DMZ) 관련 국가 계획을 세울 때는 반드시 강원도와 협의해야 한다는 것이 강원도민의 일반적 이해입니다.이는 국민적 컨센선스라 하여 지나치다 할 수 없습니다.이유는 강원도 내의 DMZ 면적이 전체 면적 907㎢의 3분의 2를 차지한다는 사실에 닿아 있기 때문입니다.강원도를 우선하지 않고 DMZ에서 무슨 일을 할 수 있겠는가 싶다는 얘기입니다.

이런 강원도의 생각은 경기도나 인천의 생각과 상충합니다.접경지 문제는 늘 여기에 있습니다.정부가 접경지 대규모 개발 계획을 내놓으면 그걸 자기 지역으로 가져가겠다며 경쟁하는 형국이 벌어집니다.지난 2013년에 DMZ 세계평화공원 유치전이 가열되었던 사실을 떠올리게 됩니다.물론 그때 강원도는 철원군 김화읍 생창리에 DMZ생태평화공원을 세우는 데에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이를 이루기까지 이웃 지역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이번 정부의 한반도 신(新)경제지도 로드맵과 연계한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사업 역시 다시 경쟁의 불이 붙게 됐습니다.기본적으로 경쟁을 유발하는 정부의 방식이 바람직하냐에 대한 논의가 있을 수 있습니다.필요 이상의 에너지를 소모케 한다는 비판이 그렇습니다.그러나 이번에 다시 강원·경기·인천 지역이 300억 원의 생태평화벨트 국비 확보 경쟁 상태에 이미 돌입했습니다.

문제는 지역 간 경쟁 당위 얘기는 일단 접어두고 다시 한 번 예산 확보전에 적극 뛰어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그렇다면 강원도적 논리 개발에 보다 치열해야 합니다.예컨대 경기도는 ‘한반도 평화의 중심 경기도’를 내세우며 1000억 원 규모의 DMZ 장기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지난 평화공원 유치전에서 밀린 것도 있어 반전을 도모할 것이므로 이번 경쟁은 결코 만만하지 않습니다.

DMZ 개발 관련 사안에 ‘강원도가 빠질 이유가 없다’는 어디까지나 강원도의 입장으로 하는 말입니다.북한이 마식령스키장과 금강산 관광을 연계하는 원산관광특구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고 금강산 관광 재개 건도 있고 하여 생태평화벨트 조성 사업은 강원도가 최적일 것입니다.하지만 사안의 중심부로 들어가면 다시 경쟁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따라서 다시 긴장해야 합니다.강원도적 논리로 무장한 행정과 정치권의 강력한 도전을 기대합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