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동원 사회팀
도내 대학가가 시끄럽다. 학생회 사업을 빌미로 총학생회가 학내 협력업체에게 수 백만원의 협찬을 요구한 일 때문이다.

해당 총학생회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총학생회의 존재 가치 등을 곱씹어 봐야 한다. 소외계층을 돕기 위한 선의의 뜻이었다고 밝히고 있지만 과정이 옳지 못했다. 목적을 위해 뒷거래를 하는 모습은 그들이 그토록 비판하던 일부 정치인들의 행태와 너무도 ‘닮은 꼴’이다. 총학생회는 대학 구성원의 주체인 학생들을 대표하는 단체로, 1년 동안 운영할 수 있는 예산이 학생회비, 학교지원금, 기업 및 단체 협찬 등에 따라 적게는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수억원에 달한다. 그만큼 투명성이 요구될 수밖에 없다.

오이밭에서 갓끈 고치지 말란 속담이 있다. 해당 총학생회는 이번 일을 계기로 이권이 문제되는 곳에서는 아예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시스템을 뜯어 고쳐야 한다. 커뮤니티 사이트에 올라 온 학내 구성원들의 비난, 바람, 격려가 쇠귀에 경 읽기가 되지 않길 바란다.

도민들에게는 2년 전 강릉지역 대학 총학생회장들이 졸업앨범 제작업체 선정 권한을 이용해 특정업체로부터 금품을 수수한 사실이 검찰에 적발돼 ‘떡값 총학생회장’이란 오명을 남긴 사건이 아직도 생생하기 때문이다. gondori@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