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현

문화부 기자

롤러코스터 같은 일주일이었다.

춘천시가 김유정문학촌을 김유정문학마을로 명칭을 변경하는 안이 포함된 조례를 개정하면서 촉발된 ‘김유정문학촌 명칭 변경 논란’은 관계자들 간의 신속한 협상으로 극적인 결말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명칭 논란은 타결 전까지 일촉즉발의 위기로까지 치달았다.

조례 심의 직전 명칭 변경 사실을 알게된 김유정기념사업회는 “사전에 여론을 수렴하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발했고 지난 29일 열린 이사회에서는 이사들간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며 ‘이사 전원 사퇴’라는 극단적인 단어까지 나왔다.

결국 이사회는 ‘조례안 수용 불가’라는 입장을 천명하며 상황은 더욱 악화됐다.

그러나 문화예술인들의 입장을 파악한 춘천시가 뒤늦게나마 적극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고, 이사회가 끝난지 이틀만에 김유정문학마을은 행정용어로만 사용하겠다는 ‘사실상 유지’가 결정되면서 10여 년간 춘천의 대표 브랜드로 성장한 김유정문학촌이라는 이름을 지킬 수 있게 됐다.

애초에 일어나지 않았으면 더 좋았을 일이지만 문화예술 관계자와 공무원들이 발빠르게 움직인 덕에 민·관이 지역 문화 브랜드를 지켜낸 선례를 도출한 사례이기도 하다.

지자체가 결정하면 무조건 따라야 한다는 시대는 지났다.

특히 지역 문화예술을 대할 때에는 그 안에 담긴 정체성,혼,역사,철학,주민들의 추억까지 모두 고려해야 한다.

지자체와 문화예술계 간의 긴밀한 소통,주민 여론 수렴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웠다는 점에서 이번 김유정문학촌 명칭 변경 논란이 지역사회에 남긴 가르침은 적지 않다.

국립한국문학관 유치,축제 예산 추경 반영 등 지자체와 문화예술계가 협력해야 할 일들은 아직 많이 남아있다.

행정과 문화예술계가 이번 일의 해결과정을 모델 삼아 지역의 문화 현안들을 앞으로도 유연하게 풀어가길 기대한다. tpgus@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