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 산불 취약지 대응 빅데이터 분석
경북·충북도 산불 취약 지역 포함

▲ 지난해 4월 11일 강릉시 난곡동의 한 야산에서 불이나 주택과 마을을 덮치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강원도민일보 자료사진]
▲ 지난해 4월 11일 강릉시 난곡동의 한 야산에서 불이나 주택과 마을을 덮치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강원도민일보 자료사진]

인구가 적은 반면 산 비율이 높은 강원 지역의 산불 취약지수가 다른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소방청은 1년 중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봄철을 맞이해 ‘2023년 산림 인접 산불 취약지 대응 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소방청은 국토지리정보원의 지역별 인구 및 건축물, 행정안전부의 민방위 대피시설 등 다양한 데이터를 종합해 화재위험도를 분석했다.

결과에 따르면, 소화전과 비상소화장치를 포함한 소방용수시설은 서울이 62만8000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 18만 8000개, 경북 12만 3000개, 경남 11만8000개 순이었다.

10㎢ 단위 면적별 소방용수시설 분포 현황은 서울·부산·인천·광주 순으로 집계됐다.

인구 1000명당 소방 용수시설 분포 현황은 전남이 가장 많았고, 서울·전북·강원 순으로 나타났다.

▲ 강릉시 읍면동 산불취약지수 현황. [소방청 제공]
▲ 강릉시 읍면동 산불취약지수 현황. [소방청 제공]

소방청은 소방용수시설 확충이 필요한 산림지역에는 보다 정밀하게 데이터 분석을 시행했다.

산림면적과 인구수, 건축물 수 등을 활용해 산불취약지를 분석한 결과, 다른 시도에 비해 인구는 적고 산 비율이 높은 강원·경북·충북 지역이 산불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건물과 인구수는 많지만 산 비율이 적은 인천은 산불 화재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세부적으로는 읍면동 단위 산불취약지수를 확인도 가능하며 ‘23년 4월 대형 산불’이 발생했던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산불취약지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소방청은 해당 분석 결과를 산불 발생 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대한 비상소화장치, 소화전 확충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할 예정이다.

향후 추가 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고도화해 예방 집중지역을 선정하는 등 효과적인 예방정책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